Bubble Bomb

Communication
Area
Korea
Year
2023
Award
GOLD WINNER
Affiliation
Sejong University
Designer
Hongju Park, Hyeonmin Kim
https://youtu.be/WYFae9Rmefo
English
Unlike many lifestyle product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re are very few entertainment products. While there are hundreds of board games that non-disabled people can play, there are only a few games for them, and most of them are classics. Therefore, we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entertainment product that even the visually impaired could easily enjoy. The game was produced in a form that does not depend on vision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and non-disabled can enjoy the game equally. In addition, it was applied to the design considering that yellow is the most recognizable color for amblyopia.
Native
현재 우리나라 국민 200명 중 약 1명이 시각장애인으로 높은 비율을 가지고 있다. 이 중 5%는 전맹자에 해당하며, 대다수는 명암, 색깔을 희미하게 구분 할 수 있는 약시자 또는 색맹자이다. 이러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 안내스피커 등이 적용된 생활 제품이 다수 개발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오락 관련 제품은 매우 적다. 비장애인이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은 수백가지 종류가 있는 것에 반해,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보드게임은 30여가지에 불과하며, 대부분 고전적인 것들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들도 쉽게 즐길 수 있는 오락 제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드게임은 인쇄물과 다수의 부품들을 동반하는 복잡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정보 전달과 진행 속도 측면에서 재미가 반감된다. 따라서 보드게임을 직관적이면서 시각에 의존하지 않는 형태로 제작하여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게임을 통해 재미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0.04 미만의 시각을 가진 시각장애인들의 경우 노란색과 같은 고채도 색상이 가장 인지하기 쉽다는 점을 고려하여 플레이어들이 색으로 인해 게임을 하는데 제약을 받지 않도록 명도와 채도를 명확하게 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Positi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