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ok Eaves Chair

Industrial
Area
Korea
Year
2025
Award
WINNER
Affiliation
Kobeomsuk Furniture
Designer
Ko Beomsuk
English
The form of the 'Hanok Eaves Chair' seamlessly combines sharp edges and gentle curves, reminiscent of the slightly raised eaves of a traditional Korean house. Up close, it appears dynamic, but from a distance, it maintains a serene presence. The design is intentionally kept concise, with attention to detai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erving as a focal poi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ckrest and armrest is achieved using a traditional joinery called half-blind dovetail, revealing the essence of craftsmanship. This approach encapsulates the simplicity, proportion, and material beauty inherent in Korean aesthetics.
Native
한국전쟁 이후, 좌식과 입식을 혼용하여 생활하는 한국 주거환경에서 그 동안 의자는 한국 가구디자인에서 큰 역할을 부여받지 못한 편이었다. 하지만 최근 자신의 취향을 반영한 공간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한국 고유의 미의식을 담은 예술품에 대한 요구도 높아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는 한국미를 담은 의자디자인을 하고자 하였다. 한옥 이브스 체어의 형상은 날카로운 모서리와 완만한 곡선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한옥의 살짝 올라간 처마를 연상케 한다. 가까이서 보면 역동적으로 보이지만 멀리서 보면 고요한 존재감을 유지한다. 디자인은 더 이상 뺄 것이 없도록 간결하게 하되 제작 방식에서의 디테일을 디자인 포인트로 삼았다. 등받이와 팔걸이의 연결방식은 캐비넷을 만들 때 주로 쓰는 결합 방식인 반턱주먹장으로 체결하여 수공예의 정수를 드러내었다. 이를 통해 단순미, 비례미, 재료의 아름다움의 한국적인 미학을 담아내었다.
Judging Comments
The Hanok Eaves Chair has been highly praised for its seamless fusion of tradition and modern craftsmanship. Inspired by Korean hanok eaves, its design balances sharp edges with gentle curves, creating a dynamic yet serene presence. The use of half-blind dovetail joinery highlights exquisite craftsmanship, reinforcing its structural integrity and aesthetic appeal. By focusing on proportion, material beauty, and minimalist elegance, the chair successfully embodies the essence of Korean design, making it a timeless and culturally significant piece.
Positi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