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Va Bien

Industrial
Area
Korea
Year
2022
Award
WINNER
Affiliation
Hongik University
Designer
Soomin Kim, Minjeong Kim
English
For a positive relationship, smooth communi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ach other is necessary. 'Ca va vien' solves the absence of understanding between people and plant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irrigation cycle by type of plant. The user checks the moisture of the soil through a water meter built-in for 15 days and marks it in a pot on the day the water is given. As a result, the top surface has a pattern indicating the plant's irrigation cycle. This makes it easy to understand plants. You can also use 'Ca va vien' to enjoy deeper communion with plants by behaving similarly to the existing interaction situation with plants.
Native
누군가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원활한 소통이 전제되어야 한다. 원활한 소통은 서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철학이 반영된 ‘Ca va vien’은 식물을 기르는데 서툰 사람과 식물 사이에 생겨나는 이해의 부재를 해결할 수 있다. 식물마다 식물의 크기나 기르는 환경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식물의 종류로 관수주기를 단정짓기는 어렵다. 이때 가장 좋은 방법은 매일 배양토의 수분도를 확인하여 필요한 때에 물을 주고, 다시 배양토가 건조해질 때를 체크하여 각 식물의 관수주기를 파악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15일간 'Ca va vien'에 내장된 수분계를 통해 배양토의 수분을 확인하고, 물을 준 날에는 화분에 표시한다. 그 결과, 상단면에 해당 식물의 관수 주기를 가시화한 패턴이 생긴다. 이 패턴을 통해 헷갈릴 수 있는 관수주기를 직관적으로 파악이 가능해 식물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손으로 잎을 만져보거나 물을 주는 등 기존의 식물과의 교감 상황과 유사한 행동으로 관수주기를 체크할 수 있어 ‘Ca va vien’을 사용하면서 식물과의 더욱 깊은 교감을 향유할 수 있다.
Positive Comments